안녕하세요. 2024년 설 명절 연휴도 잘 보내셨나요.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가정에 만사형통 기원드립니다.
이번 설연휴는 넘 짧은 듯 해서 모두들 많이 아쉬었었던 것 같습니다. 주말에 걸처진 연휴라 생각보다 길게 느껴지지 않았던거 같습니다. 해외업무를 하다보면 서양은 연말 크리스마스 이브부터 1월 1일까지는 대체적으로 쉬는 데요. 우리는 뭐든 캘린더의 운에 따라, 애매하게 쉬는 것 같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진정한 Break Time은 없는건가요??? (학생들의 방학같은,,,,)
명절에 의미를 두자면, 자주 볼 수 없는 친지들을 만나고, 대화를 나눌 수 있어서 가족간의 유대를 느끼게 해줍니다. 그러나 신조어나 단축어를 모르면 조카들과 조카들과 재미있는 대화를 나누기 어려울 수도 있겠다 싶어서, 오늘 신박한 신조어와 단축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재미있게 습득해 보시길 바랍니다.^^
1. 믿거폐 뜻: 믿고 거르는 페이스북 뉴스와 광고, 소식
2. 올린원 뜻: 집근처에서 모든 것이 가능
3. 군싹 뜻: 군침이 싹 도네
4. 시성비 뜻: 시간 대비 성능
5. 잼민이 뜻: 누군가 어린아이 같이 유치한 경우, 초등생
6. 구취 뜻: 유튜브/틱톡 구독 취소
7. 제곧네 뜻: 메목이 곧 내용,,,,,,, ㅋㅎ
8. 당모치 뜻: 당연히 모든 치킨은 좋다/옳다.
9. sbn 뜻: 선배님
10. 홀리몰리과카몰리 뜻: 완전 놀람
11. 190000: 쉽구만,,,,, 쉬어
12. 0700: 안 귀여워
13. 700: 귀여워
14. 혈중마라농도: 마라탕을 얼마나 많이 먹는지 물어 볼 때
15. 도파밍: 완전 흥분되는 일을 찾아내는 것
16. 얼로너: 모든 것을 혼자서 즐기는 인간
17. 반모: 반말로 대화 하자는 뜻
18. 리세마라: 게임중,,,,, 좋게 풀릴때까지 반복하는 작업들
19. ㅇㄱㄹㅇ: 이거레알, "정말로!!!"
20. ㅁㄴㅇㄹ: 아무 생각이 없다
21. 유하: 유튜브를 보는 사람끼리 인사법
22. 갓생: 완벽히 만족스런 삶, 모범적인 인생, 내가 원하는 인생
23. 환승이직: 재직하는 가운데 이직을 준비하는 상황
24. 사바사: 사람 바이 사람, 사람마다 다르다는 뜻
25. 현생: 현실의 삶
26. 자만추: 자연스러운 만남을 추구하는 성향
27. 런치플레이션: 점심값이 너무 올랐음을 표현
28. 모에모에쿵: 음식 맛있어저라는 주문,,,,,,ㅋㅎ
29. 스불재: 스스로 불러들인 재앙, 자승자박
30. 돼지런하다: 먹을것에 부지런해지는 친구를 볼때
31. 인급동: 인기 급상승 동영상
32. 닝바닝: 사람마다 다르다.
33. 애빼시: 애교빼면 시체
34. 억텐: 억지로 상대의 말이나 행동에 기분을 맞춘다는 뜻
35. 핑프: 핑거프린스,,,,, 핸드폰만 터치해보면 알수 있는 정보를 물어보는 사람
36. 슬세권: 슬리퍼로 갈 수 있는 거리
37. 혼바비언: 혼자 밥 먹는 사람들
38. 알잘깔딱센: 알아서 잘 깔끔하고 센스있게
39. 쓸쓸비용: 외로움을 달래는 비용
40. 농협은행일세: 예쁘다
41. 만관부: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42. 만반잘부: 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
43. 마상: 마음의 상처
44. 대2병: 취업과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대학교 2학년생들이 겪는다는 불안감
45. 톤그로: 자기 피부색과 맞지 않는 화장품을 사용했을 때, 어색한 표현을 사용할 때
46. 스몸비: 스마트폰 좀비, 모두 스마트폰만 볼때
47. 편백족: 식사는 편의점에서 해결하면서, 명품을 사러 백화점 가는 사람
48. 멍청비용: 부주의로 나가는, 몰라서 나가는 비용
49. 문찐: 문명 찐따.... 유행에 뒤처지는 사람
50. 점메추: 점심 메뉴 추천
51. 네카라쿠배당토: 취업하고 싶은 IT 기업의 앞글자모음,,,,,,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 민족, 당근마켓, 토스
52. 캘박: 약속을 내 폰 캘린더에 저장함
53. 회의 주의자: 툭하면 회의하자고 하는 직장 상사
54. 별다줄: 별걸 다 줄인다
55. 흠좀무: 흠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서운데
56. 데일리플리: 매일반복적으로 하는 일
57. 휘게: 덴마크어 소소한 행복, 편안함
58. 글설리: 글쓴이를 설레게 하는 리플
59. 타임푸어: 시간에 쫒기는 삶
60. 펭귄부부: 식생활과 외식 여가등, 모든 생활방식의 촛점을 어린 자녀에게 맞추어 하는 부부
61. 의주빈 뜻 : 의사 + 조주빈 (텔레그램 몰카 범죄자)을 의미하는 약어, 부정적 표현 (업데이트, 2024/02/27)
62. 알잘딱깔센 뜻: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 선재 업고 뛰어에 나와서 업데이트 합니다.(2024/05/21)
63. ㅁㄴㅇㄹ 뜻: 내용 없음, 댓글달기 귀찮음 , 의미없음의 뉘앙스를 표현하는 줄임말, "기원은 영문자판 asdf,,,, 즉 채팅시 할 말이 없거나, 주저주저 할때 음~~~~ 이라는 느낌으로 의미없이 키보드 문자열 자판의 왼쪽 2번째 줄 asdf를 그냥 입력하는데서 비롯됨..... (2024/05/22)
64. 허버허버: 허겁지겁 먹는다 (남성 혐오 신조어이니 주의 필요)
65. 웅앵웅: 웅얼거리다. (남성혐오 신조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필요)
66. 오조오억: 많은 수량을 뜻함 (2024/07/04)
67. 옴니보어 (Savoring a Bit of everything : Omnivores): 잡식성, 2025년 트렌드코리아에서 소개하는 키워드 중 하나, 여러분야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 트랜드, 옛날처럼 성별, 소득, 인종에 따라 소비시장이 특정되지 않는다.
68. 아보하 (Nothing Out of the ordinary: Very ordinary day) : 2025년 트렌드 코리아에서 소개하는 2번째 키워드 "특별할 것 없는 오늘 하루 무사히 넘긴 것에 감사하며, 내일도 오늘 갖기"를 특별히 행복한 좋은일 없이도 안온한 일상에 만족한다.
69. 페이스테크 (Keeping it Humen: Face Tech): AI와 로봇의 발전이 무섭도록 빠르다. 그러나 아직 기계의 표정은 어색하고, 사람의 얼굴과 표정을 정확히 읽어내지 못한다. 앞으로의 기술의 숙제와 트랜드는 최대한 인간적으로 다가오는 로봇과 AI가 고객의 선택을 받을 것이다. (2025년 트렌드 코리아의 3번째 키워드)
70. 그라데이션 K: 문화 강국 대한민국의 현재, 단일민족이나 외국인 인구비중은 5% 세계화와 로컬화가 빠르게 섞이면서 한국은 한가지 색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사회가 되어간다. (2025년 트렌드코리아 4번째 키워드)
71. 물성매력 (Experiencing the physical): 개인적으로 아날로그 감성과 동의같은 느낌, 디지털이 아무리 발달하고 AI가 우리의 일상이 되더라도 인간은 소비자는 집적 만지고 느낄 수 있는 물성을 경험하고자 하며, 그 기억을 더 오래 간직한다. 우리가 기획하는 상품에 물성의 매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갤럭시 노트에 메모하기보다, 다이어리 A4지에 만년필로 메모할때 더 기분이 좋다. (2025년 트렌드 코리아 5번째 키워드)
72. 기후 감수성 :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에따른 이상 기후가 현존하는 잠재적 위험으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만큼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과 걱정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최근 여름은 너무 더웠고, 길었다. 그리고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종종 부정확해지기도 한다. 이는 기존의 기후 예측 Data simulation 방식에 더 많은 변수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2025년 트렌드 코리아 6번째 키워드)
73. 공진화 전략: 상생을 도모하는 자연생태계의 공진화에 비지니스 해결책의 아이디어를 찾아라. 상호연결성이 놓은 오늘날의 경제에서는 업종을 뛰어넘어 타 산업과도 긴밀한 연계를 통해서 공동의 성장을 도모해야한다. 상생하자. (2025년 트렌드 코리아 7번째 키워드)
74. 원포인트업 : 자기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자기가 잘할 수 있는 목표를 찾아, 실천가능한 만큼 실행해서 나를 변화시키고 Value-up 하자. 개인적으로 아토믹 해빗이란 책을 보면 더욱 도움이 될 듯 (2025년 트렌드코리아 8번째 키워드)
75. 토핑경제 : 기성제품에 자신의 스타일을 입힐 수 있는 걸 선호한다. (예: 크록스의 캐릭터 핀 꾸미기) 2025년 트렌드 코리아 9번째 키워드
76. 무해력 : 작고 귀엽고 순수하고, 자극적이지 않고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무해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 (2025년 트렌드 코리아 10번째 키워드) ....../2025년 1월 13일 updated.
77. 느좋 : 느낌이 좋다.
78. 쫌쫌따리 : 조금씩 모으는 것을 표현
79. 억텐 : 억지로 텐션을 올린다.
80. 댕댕미 : 댕댕이 강아지 같은 귀여움
81. 짤줍 : 인터넷 짤을 모은다.
82. 스불재 : 스스로 불러온 재앙의 줄임말
83. 아더메치: 아니꼽고 더럽고 메스껍고 치사한의 줄임말 / 2025년 1월 23일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