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음 투데이 버블 키워드 검색 방법 (실시간 무료 키워드)

by 리치 마운트 2024. 11. 15.
반응형

오블완을 챌린지하며, 글감에 대해 고민해본다.

 

"오블완.21일.글력상승"

 

이게 이번 챌린지의 목표일텐데, 하루 1개의 블로그 공개 발행이 쉽지 않다. 한 달에 2개 쓰고 뿌듯했었던 지난 1년을 돌아본다. 난 블로그에 소질이 없다. 글을 쓰기 전에 고민이 너무 많다. 그리고 추진력에 기반한 노력 형도 아니다. 그저 뭔가 소소하게 글적거려보며, 취미 생활이 해보고 싶었던건가? 목표도 없다. 

 

글을 잘 쓰려면, 누군가 말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정량의 글을 써본다. 일기를 기반으로 하면 좋겠으나, 매일매일의 삶이 챗바퀴처럼 돌아가는 일반인에게 일기 쓰기만큼 어려운 일이 없다. 복사기도 아니고 매일매일 똑같은데, 오늘의 날씨, 온도, 오늘 본 드라마 제목을 써보는 수 밖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매일 써보라 한다. 

 

그래서 고민해본다. 매일 누군가 글쓰기의 주제를 찾아주면, 시작이 반이니, 글쓰기의 반은 완료다. 

 

요즘 핫한 화제는 무엇일까? 아 그래 키워드 검색이라는 기능이 있었지?

 

그래서 조사해보니, 다음의 투데이 버블이라는 서비스가 있었다. 다음 검색 사이트 우측 중단에 항상 보인다. 

 

다음 검색 창에 검색어 입력 후 보여지는 투데이 버블

 

 

보자,  새로운 키워드를 누르니 계속해서, 새로운 키워드 검색어가 올라온다.

 

궁금하다 이 키워드들이 실시간 화제 거리이기도 하고, 궁금한 뉴스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크롤링된 키워드들일까? 

 

투데이 버블 설명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웹크롤러를 사용해 다양한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모으고 정리합니다. 웹 크롤러는 공객된 웹페이지를 방문하고 관리자가 설정한 웹크롤러 규칙을 준수합니다. 수집한 문석를 분석해 최근 언급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키워드를 추출합니다."

 

(분석과 추출) 

1. 최근 수 일 동안 웹페이지들에 언급된 단어를 분석 (A) 합니다. 

2. 다음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 도안 웹페이지들에서 언급된 단어를 분석 (B)합니다. 

3. A,B를 비교해, 평소대비 언급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단어를 추출합니다. 

4. 유사한 의미들을 가진 단어 조합들을 통합하고 중복을 제거한 뒤, 주제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키워드 조합을 선택합니다.   

- 투데이 버블 설명서에서 

출처: 다음 투데이 버블 설명서 도표 캡처

 

결국 우리가 생각하는 실시간 화제 거리일 수 도 있지만, 뉴스들에서 많이 언급된 키워드가 투데이 버블 키워드로 형성되기 쉽울거 같고, 실제로 투데이 버블의 키워드들 보면 시합의 결과나 운동선수, 연예인이 많이 도출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실시간 검색어와는 어떻게 다를까? 

 

과거에는 실시간 검색어는 다음 검색이라는 하나의 서비스에 이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 통계정보를 활용해 순위를 매겨 사용했는데, 이는 곧 누군가 짧은 시간 동안 의도적으로 검색량을 증가시키는 행위가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객관적인 방법으로 공적 문서화 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데이 버블을 만들어 제공한다는 뜻이다. 

 

이는 투데이 버블이 "유용한 정보나 사회의 공감대를 넓힐 수 있는 주제를 발견하도록 돕는다"는 목적을 운영되는 서비스인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투데이 버블이 뉴스 데이터에만 기반하지 않고, 다음뉴스를 통해 제공되는 뉴스뿐만 아니라 검색 제휴 뉴스, 다음카페, 외부 온라인 커뮤니티등 다양한 출처의 웹페이지를 분석한다면, 언론 뿐 아니라 일반 사회의 이용자들이 주목하는 이야기 주제를 더 잘 알 수 있다는 걸 의미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Data 생성의 시간적 공정성 + 소스의 객관화를 많이 고민한 검색어 서비스인것 같다. 

 

종종 신문을 보고, 많은 사람들과 대화하며, 이 사회의 트렌드를 잘 쫒아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투데이버블도 한번씩, 훑어보면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이 시대의 트렌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